"가뜩이나 어려운데…" 철강업계, 美 관세에 1兆 비용 부담[美 철강관세 현실로] > 익명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익명게시판

"가뜩이나 어려운데…" 철강업계, 美 관세에 1兆 비용 부담[美 철강관세 현실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3-13 08:40 조회 1,254 댓글 1

본문

연간 263만t 무관세 쿼터 폐지
유예했던 차·가전·항공 부품 등
87개 파생품목 포함 가능성 높아
"美서 대체하기 힘든 제품에 기회"
[파이낸셜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가 시작되면서 '관세 전쟁' 신호탄이 울렸다. 미국 수출 타격과 중국산 저가재 덤핑이라는 '이중고'에 처한 국내 철강업체들은 품목별로 기회와 리스크 요인을 파악해 위기 극복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

■철강·알루미늄 소재 및 파생상품 관세 발효
12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미국의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조치가 한국 시간으로 이날 오후 1시 1분부로 발효됐다. 이에 따라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적용됐던 '무관세 쿼터제'는 사라졌다. 한국은 그동안 연간 263만t으로 수출량을 제한하는 조건으로 관세 적용에서 제외됐다.

이날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 외에도 △볼트 △너트 △스프링 등 172개 파생상품은 곧바로 관세가 적용된다.

아울러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 당초 미 상무부가 추후 공지하기 전까지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했던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부품과 가전 부품, 항공기 부품 등 87개 파생상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면서 이번 25% 관세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에서는 한국이 미국 철강 수입 시장에서 네 번째로 많은 철강 제품을 팔고 있어, 관세에 따른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한국 철강 제품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9.7%다. 한국신용평가는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 철강업계 부담 비용을 최대 1조 2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산업군에도 트럼프발 관세가 이어지면서, 자동차 등 철강을 소재로 한 주요 수요 산업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직간접적 수요가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발 미·중 무역전쟁 격화의 여파로, 한국 시장에서 중국의 덤핑 공세가 더욱 거세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의 중국 제재 강화로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 저가 물량들이 한국 등 다른 국가로 쏟아져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미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의 과잉 공급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국이 부동산 침체 등으로 내수에서 남아도는 재고를 싼 가격에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어서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한국에 들어온 중국 철강재는 지난해 기준 877만t으로 2022년 675만t과 비교해 30%가량 늘었다.

■"관세는 모든 국가 동일"... 고부가 제품군에 기회될까
다만 미국 내 수요가 높은 일부 품목은 쿼터제 폐지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강관, 자동차용 특수강판 등 한국산 고부가 제품들 외에 현지 제품들은 미국 업체들이 원하는 규격과 품질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진단이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쿼터제가 발목을 잡고 있던 제품들은 미국이 쉽게 전량을 대체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 오히려 물량을 늘리고 가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동남아산 제품에 25% 관세가 붙은 제품과 경쟁을 하던 한국 무관세 유통향 제품들은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철강 업체들은 시장 상황을 고려해 품목별 수출 전략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그룹 차원에서, 현대제철은 통상전략실에서 국가별 관세에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쿼터 제한이 없어지면서 그동안 캐나다 등 미국 시장 점유율이 놓았던 국가들과 비교해 비교우위를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올 수 있다"며 "특히 이번 25% 관세는 모든 국가에 부과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부 품목에서 제품 경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도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정부는 지난 11일 불공정 무역 행위를 감시하고 고발하는 무역위원회를 확대 개편했다. 반덤핑 조사의 범위를 늘리고 강도도 높이기 위해서다. 같은 날 금융당국도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을 위주로 철강산업 전반의 재무현황과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댓글목록 1

작성일

망할듯

전체 757건 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