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해방의 날 D-2…“美, 값싼 일상용품 보기 힘들어질 것"
페이지 정보

본문
일상품 가격 이미 ‘들썩’…中 대미수출 막히면 가속화
캐나다·멕시코·中 의존 기업들, 올해 5.1% 가격 올릴듯
경쟁사 사라지면 비용절감 노력↓…결국 비용 압박↑
"연준, 인플레 억제 위해 높은 수준 금리 유지 불가피"[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저렴한 물건을 구입할 수 있는 시대가 끝나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는 인플레이션 문제를 큰 폭으로 증폭시킬 위험이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4월 2일 ‘해방의 날’로 명명했다.
WSJ은 지난 20년 동안 ‘1센트도 오르지 않았다’고 묘사한 일상용품 가격이 관세를 부과하기 전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면서, 관세까지 더해지면 가격 상승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상품 가격 이미 ‘들썩’…中 대미수출 막히면 가속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1년 12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상품, 즉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가격은 1.7% 하락했다. 반면 같은 기간 주거비, 의료비, 교육비 등과 같은 핵심 서비스 가격은 연평균 2.7% 상승했다. 상품 가격 하락이 서비스 가격 상승을 상쇄한 덕분에 근원 물가 상승률은 연간 2% 수준에 머물렀다.
이후 팬데믹 기간 동안엔 상품 가격이 급등해 2023년 여름 정점을 찍었고, 이후 12개월 동안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근원 물가가 월평균 0.1%씩 다시 상승하기 시작해 올해 2월엔 0.2%로 그 폭이 확대했다.
TS롬바드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븐 블리츠는 “2010년대와 같은 상품 부문의 디플레이션 압력이 다시는 없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며 “상품 가격 상승세가 올해 전체 물가를 약 3%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를 초과하는 수치다. 연준이 중시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은 2022년 최고치에서 급락한 뒤 현재 2.6~3%에 정체된 상태라고 WSJ는 설명했다.
경제 전반에 걸친 디플레이션은 악재지만, 특정 부문에서의 디플레이션은 오히려 소비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컴퓨터 가격이 크게 비싸지지 않으면서도 성능은 좋아진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생산성과 기술 발전 덕분에 품질 향상에도 가격은 오르지 않았다.
중국이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대미 수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도 가격을 낮출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시러큐스대학교 라이언 모나크 경제학 교수와 연준 경제학자 콜린 호트먼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의 대미 수출이 500% 이상 증가한 덕분에 미국은 수입물가 상승률이 매년 0.6%포인트 낮아지는 효과를 봤다.
모나크 교수는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혜택을 누리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며 “글로벌 경제에 제 2의 중국이 등장할 가능성도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셰일오일 붐으로 에너지 가격이 안정된 것도 미국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 혜택을 누릴 수 있었던 배경이다. WSJ은 2010년대 초반보다 2019년 국제유가가 더 낮았다고 짚었다. 이는 원자재 수입부터 생산, 운송 등까지 전반적인 비용을 낮추는 효과로 이어졌다.
캐나다·멕시코·중국 의존 기업들, 올해 5.1% 가격 올릴듯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면 가격 억제 효과도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새로운 관세가 시행된 지 한 달 만에 이미 북미 국경을 넘는 상품 운송비가 급증하는 추세라고 WSJ는 전했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관세 때문에 연준이 선호하는 근원 PCE가 2월 2.8%에서 올해 말 3%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근 리치먼드·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과 듀크대학교가 400명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의존하는 기업들은 올해 5.1%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반면 3개국에서 전혀 수입하지 않는 기업들은 올해 제품 가격을 2.9% 올릴 예정이다.
관세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기업 재무 아웃소싱 회사인 서트커 모란의 대표인 스콧 모란은 “아직은 많은 기업들이 관세 부과 전 창고에 보관해둔 재고를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 비용이 상승하고 있다. 기업 고객 중 일부는 연말 가격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식료품 등 일상용품뿐 아니라 소비지출 단위가 큰 주택이나 자동차 가격도 크게 뛸 것이라고 경고했다. 매체는 “관세는 가격 상승이라는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미 경제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경제학자 아트 래퍼는 자동차 관세가 완전히 시행되면 차량 가격이 평균 4711달러 인상될 것으로 추산했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의 앤드류 긴서 시장은 건축 자재비 상승으로 주택 가격 중간값이 2만 1000달러 높아질 것으로 봤다.
“연준, 높은 수준 금리 유지 불가피”
이론적으로만 보면 관세는 일회성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 역시 일회성이어야 한다. 인플레이션율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더라도 관세 시행 후 1년 정도가 지나면 다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관세는 다른 방식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무역 장벽이 세워져 해외 경쟁자가 줄어들면 국내 생산자는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운신폭이 커진다. 최신 기술 개발·도입이나 노동생산성 향상 압박이 줄어, 즉 비용절감 노력이 약화해 장기적으로는 비용 압박이 가중될 수 있다.
연준은 이달 초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 압력을 인정하며 올해 인플레이션 전망을 상향 조정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연준은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 반년 정도는 금리인하 계획을 유지했다.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요인들이 상품 가격 상승 억제를 뒷받침해주지 못한다면 연준은 2%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금리를 더 높게 유지해야 할 것”이라며 “연준은 수요를 더 억제해야 하거나,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되게 놔둘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캐나다·멕시코·中 의존 기업들, 올해 5.1% 가격 올릴듯
경쟁사 사라지면 비용절감 노력↓…결국 비용 압박↑
"연준, 인플레 억제 위해 높은 수준 금리 유지 불가피"[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저렴한 물건을 구입할 수 있는 시대가 끝나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는 인플레이션 문제를 큰 폭으로 증폭시킬 위험이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4월 2일 ‘해방의 날’로 명명했다.
WSJ은 지난 20년 동안 ‘1센트도 오르지 않았다’고 묘사한 일상용품 가격이 관세를 부과하기 전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면서, 관세까지 더해지면 가격 상승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일상품 가격 이미 ‘들썩’…中 대미수출 막히면 가속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1년 12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상품, 즉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가격은 1.7% 하락했다. 반면 같은 기간 주거비, 의료비, 교육비 등과 같은 핵심 서비스 가격은 연평균 2.7% 상승했다. 상품 가격 하락이 서비스 가격 상승을 상쇄한 덕분에 근원 물가 상승률은 연간 2% 수준에 머물렀다.
이후 팬데믹 기간 동안엔 상품 가격이 급등해 2023년 여름 정점을 찍었고, 이후 12개월 동안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근원 물가가 월평균 0.1%씩 다시 상승하기 시작해 올해 2월엔 0.2%로 그 폭이 확대했다.
TS롬바드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븐 블리츠는 “2010년대와 같은 상품 부문의 디플레이션 압력이 다시는 없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며 “상품 가격 상승세가 올해 전체 물가를 약 3%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를 초과하는 수치다. 연준이 중시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은 2022년 최고치에서 급락한 뒤 현재 2.6~3%에 정체된 상태라고 WSJ는 설명했다.
경제 전반에 걸친 디플레이션은 악재지만, 특정 부문에서의 디플레이션은 오히려 소비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컴퓨터 가격이 크게 비싸지지 않으면서도 성능은 좋아진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생산성과 기술 발전 덕분에 품질 향상에도 가격은 오르지 않았다.
중국이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대미 수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도 가격을 낮출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시러큐스대학교 라이언 모나크 경제학 교수와 연준 경제학자 콜린 호트먼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의 대미 수출이 500% 이상 증가한 덕분에 미국은 수입물가 상승률이 매년 0.6%포인트 낮아지는 효과를 봤다.
모나크 교수는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혜택을 누리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며 “글로벌 경제에 제 2의 중국이 등장할 가능성도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셰일오일 붐으로 에너지 가격이 안정된 것도 미국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 혜택을 누릴 수 있었던 배경이다. WSJ은 2010년대 초반보다 2019년 국제유가가 더 낮았다고 짚었다. 이는 원자재 수입부터 생산, 운송 등까지 전반적인 비용을 낮추는 효과로 이어졌다.
|
캐나다·멕시코·중국 의존 기업들, 올해 5.1% 가격 올릴듯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면 가격 억제 효과도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새로운 관세가 시행된 지 한 달 만에 이미 북미 국경을 넘는 상품 운송비가 급증하는 추세라고 WSJ는 전했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관세 때문에 연준이 선호하는 근원 PCE가 2월 2.8%에서 올해 말 3%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근 리치먼드·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과 듀크대학교가 400명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의존하는 기업들은 올해 5.1%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반면 3개국에서 전혀 수입하지 않는 기업들은 올해 제품 가격을 2.9% 올릴 예정이다.
관세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기업 재무 아웃소싱 회사인 서트커 모란의 대표인 스콧 모란은 “아직은 많은 기업들이 관세 부과 전 창고에 보관해둔 재고를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 비용이 상승하고 있다. 기업 고객 중 일부는 연말 가격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식료품 등 일상용품뿐 아니라 소비지출 단위가 큰 주택이나 자동차 가격도 크게 뛸 것이라고 경고했다. 매체는 “관세는 가격 상승이라는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미 경제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경제학자 아트 래퍼는 자동차 관세가 완전히 시행되면 차량 가격이 평균 4711달러 인상될 것으로 추산했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의 앤드류 긴서 시장은 건축 자재비 상승으로 주택 가격 중간값이 2만 1000달러 높아질 것으로 봤다.
|
“연준, 높은 수준 금리 유지 불가피”
이론적으로만 보면 관세는 일회성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 역시 일회성이어야 한다. 인플레이션율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더라도 관세 시행 후 1년 정도가 지나면 다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관세는 다른 방식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무역 장벽이 세워져 해외 경쟁자가 줄어들면 국내 생산자는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운신폭이 커진다. 최신 기술 개발·도입이나 노동생산성 향상 압박이 줄어, 즉 비용절감 노력이 약화해 장기적으로는 비용 압박이 가중될 수 있다.
연준은 이달 초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 압력을 인정하며 올해 인플레이션 전망을 상향 조정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연준은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 반년 정도는 금리인하 계획을 유지했다.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요인들이 상품 가격 상승 억제를 뒷받침해주지 못한다면 연준은 2%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금리를 더 높게 유지해야 할 것”이라며 “연준은 수요를 더 억제해야 하거나,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되게 놔둘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목록
월급빼고다오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