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있다고 보기 어려워"...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사실상 실패
페이지 정보

본문
"경제성 있다고 보기 어려워"[파이낸셜뉴스] '동해 심해 가스전'(대왕고래 프로젝트)의 1차 시추가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5~6월 중간발표가 예정됐으나, 4일 종료된 시추 결과에서 부정적 결론이 나왔기 때문에 이른 시점에 발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에 대해서는 해외 투자를 통해 재원을 확보해 계속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백브리핑을 갖고 "대왕고래 시추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일부 있었으나, 경제성을 확보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3일 국정브리핑에서 경북 포항시 영일만 일대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하며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140억 배럴은 21세기 최대 석유 개발 사업인 남미 광구(110억 배럴)보다 더 많은 자원량이다.
석유공사가 계약한 탐사선 웨스트 카펠라호는 지난달 20일 대왕고래 첫 시추 작업에 착수했다.
석유공사는 해수면 아래 1761m 이상 깊이의 대륙붕 해저까지 시추공을 뚫어 암석 시료를 확보했다. 공사는 첫 번째 시추공에서 채취한 시료를 전문 업체에 넘겨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료를 맡기기 이전에 시추공에서 발견한 탄화수소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에 못 미친 것이다. 탄화수소는 원유나 가스의 매장 여부를 판단하는 징후 중 하나이다.
이 기준에 못 미치면서 5~6월로 예정된 중간 발표나 7~8월의 최종 분석 결과도 의미를 상실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산업부는 대왕고래 외에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에 대해서는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해 탐사를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백브리핑을 갖고 "대왕고래 시추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일부 있었으나, 경제성을 확보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3일 국정브리핑에서 경북 포항시 영일만 일대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하며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140억 배럴은 21세기 최대 석유 개발 사업인 남미 광구(110억 배럴)보다 더 많은 자원량이다.
석유공사가 계약한 탐사선 웨스트 카펠라호는 지난달 20일 대왕고래 첫 시추 작업에 착수했다.
석유공사는 해수면 아래 1761m 이상 깊이의 대륙붕 해저까지 시추공을 뚫어 암석 시료를 확보했다. 공사는 첫 번째 시추공에서 채취한 시료를 전문 업체에 넘겨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료를 맡기기 이전에 시추공에서 발견한 탄화수소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에 못 미친 것이다. 탄화수소는 원유나 가스의 매장 여부를 판단하는 징후 중 하나이다.
이 기준에 못 미치면서 5~6월로 예정된 중간 발표나 7~8월의 최종 분석 결과도 의미를 상실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산업부는 대왕고래 외에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에 대해서는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해 탐사를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