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국에서 美 군함건조"... 높아지는 'K-해양방산' 기대감 >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누구나 글쓰기, 댓글 가능

"동맹국에서 美 군함건조"... 높아지는 'K-해양방산' 기대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댓글 0건 조회 2,942회 작성일 25-02-12 17:30

본문

미 의회, 동맹국에서 군함 건조 법안 발의
미 조선소 인수나 건설 필요 없어 기대감

HD현대·한화오션 MRO로 기술·신뢰 제고
향후 수주땐 '원팀' 이뤄 일본과 경쟁할 듯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앞줄 오른쪽 두번째)이 지난해 2월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한 카를로스 델 토로 미국 해군성 장관(앞줄 오른쪽 세번째)에게 HD현대중공업 특수선 야드와 건조 중인 함정을 소개하고 있다.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앞줄 오른쪽 두번째)이 지난해 2월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한 카를로스 델 토로 미국 해군성 장관(앞줄 오른쪽 세번째)에게 HD현대중공업 특수선 야드와 건조 중인 함정을 소개하고 있다. HD현대 제공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앞줄 오른쪽 첫번째)이 지난해 10월 24일 미국 해군 태평양함대 사령관 스티븐 쾰러 제독(앞줄 오른쪽 두번째)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정비 중인 '월리 쉬라'함 정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앞줄 오른쪽 첫번째)이 지난해 10월 24일 미국 해군 태평양함대 사령관 스티븐 쾰러 제독(앞줄 오른쪽 두번째)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정비 중인 '월리 쉬라'함 정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한화오션 제공

[파이낸셜뉴스] 미국 해군 함정을 동맹국이 건조할 수 있는 법안이 발의되면서 K-해양방산의 대미 협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해군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통해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한 뒤, 향후 '원팀'을 이뤄 수주전을 대비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공화당 소속 마이크 리 상원의원과 존 커티스 상원의원은 최근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과 '해안 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했다. 해군 준비태새 보장법은 외국 조선소에서 해군 함정 건조를 금지하는 법을 개정해 예외를 두는 내용을 담았다.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은 같은 내용을 해안경비대에서 사용하는 선박에 적용한다.

해당 법안은 중국 견제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중국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해군력이 유지돼야 하는데, 현재 선박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 법안을 발의한 두 의원은 미 해군이 준비 태세를 유지하려면 함정 355척이 필요하지만, 현재 291척만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법안 발의가 통과되면 미국 조선소를 인수하거나 건설할 필요가 없어 수주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다"며 "미 해군이 미국 내에서 군함을 건조하면 한국에서 건조하는 것보다 2배 이상 비용이 투입되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 해양방산 업체에게 기회가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국가 중 첨단 해군 함정을 미국보다 저렴하게 건조할 역량을 보유한 국가는 사실상 한국과 일본뿐이다. 업계에서는 생산 능력과 기술력 측면에서 한국이 일본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미 해군과의 MRO 사업은 기술력 입증과 신뢰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급유함인 유콘, 군수지원함인 윌리 쉬라 등 국내 조선업계 최초로 2척의 미 해군 MRO 사업을 수주했다. HD현대중공업은 이달 발주가 예상되는 사업에 입찰하고, 연내 최대 3척의 함정을 확보로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모두 높았던 진입장벽을 허무는 미 의회 법안 발의에 환영의 뜻을 밝히며 포부를 내비쳤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HD현대중공업은 미국의 안보동맹국 중 미국과 유사한 사양의 이지스구축함을 성능, 비용, 납기 측면에서 원하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실적과 건조역랑을 보유하고 있는 미 동맹국 중 가장 큰 야드를 보유한 유일한 조선소"라고 강조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한화오션은 특수선 분야에서 미국 함정의 MRO는 물론이고 신조 건조 등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어나가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기업들은 향후 '원팀'을 이뤄 수주전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이 해상 패권을 넓히는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서 군함 발주를 늘리면, 일본과의 경쟁이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함정 분야에서 많은 수주를 성사시켰던 만큼, 힘을 합쳐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라며 "호주 호위함 수주전에서 경쟁체제로 고배를 마신 만큼, 미 해군 군함 수주와 더불어 캐나다 잠수함 사업 등에서도 '원팀' 체제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MRO #일본 #미국 #중국 #해군 #조선 #방산 #수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67건 20 페이지
  • RSS
익명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482 2831 02-13
481 2966 02-13
480 2905 02-13
479 2899 02-13
열람중 2943 02-12
477 2973 02-12
476 3343 02-12
475 2938 02-12
474 3077 02-12
473 3337 02-12
472 2941 02-12
471 3014 02-12
470 3060 02-12
469 3172 02-12
468 2873 02-12

검색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