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수락 연설 '관념어' 사라져"… "증오·적개심 표현도 없어"
페이지 정보

본문
사용하지 않은 단어 '타도''윤석열' … 되풀이하며 강조한 단어 '타협'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대선후보로 선출된 후 수락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보수논객’ 정규재 전 한국경제신문 주필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대선 후보 수락 연설을 "증오나 적개심을 표현하는 언어는 없고 타협을 강조했다"고 분석했다.
정 전 주필은 2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 계정에 '이재명의 대선후보 수락연설을 듣고'라는 제목으로 올린 글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정 전 주필은 "(이날 연설에서) 몇 가지 없는 단어가 있었다"는 말로 시작했다. 그러면서 "타도라는 말이 없다. 쿠데타라는 말은 있지만, 윤석열이라는 단어가 한 번도 없다"면서 "자신을 패배자가 되었던 사람이라고 말했지만, 자신을 다섯 번이나 기소한 사람에 대해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검찰 독재의 희생자였다. 국힘당 후보 토론회를 보면 4명의 후보들이 모두 범죄자 이재명, 전과 4범 이재명 등의 단어를 수도 없이 반복하고 경멸적으로 사용한다"며 "이재명의 대선후보 수락 연설에는 사람 이름이라고는 노무현 등의 이름이 두 번 나왔을 뿐 정치적 상대방들에 대해서는 아예 입을 닫았다"고 적었다.
연설문에서 유독 눈길을 끄는 단어도 꼽았다.
정 전 주필은 "증오의 언어나 적개심을 표현하는 언어들은 없었다. 국힘당이라는 단어도 없었다"며 "나라 사정이 급해서 이념 사상 진영, 이런 것들을 들여다볼 시간이 없다고 말하면서 이제 통합하고 앞으로 가자고 말한다. 통합이라는 단어는 아마 열 차례도 더 되풀이 강조한 것 같았다"고 밝혔다.
'좌우 진영'이 구사하는 언어적 차이를 설명하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달라진 표현에도 주목했다.
정 전 주필은 "그동안 서서히 우클릭을 시도해 온 결과가 오늘 연설에서는 아예 자리를 잡는 모양새다. 아직 좌파 특유의 언어 단어들이 남아 있다"면서도 "중도적 중립적 언어들이 많아졌고 이제는 그런 단어만으로도 충분히 문장 구사가 된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의 연설에서 관념어들이 많이 사라진 점에 더욱 주목한다. 원래 동사를 많이 쓰면 우파, 명사 특히 관념어를 많이 동원하면 좌파의 언어라고 한다지 않은가"라며 "이재명 후보의 언어는 그런 점에서 아주 좋아졌다. 생각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행스럽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선거 #이재명 #정규재 #수락연설

[파이낸셜뉴스] ‘보수논객’ 정규재 전 한국경제신문 주필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대선 후보 수락 연설을 "증오나 적개심을 표현하는 언어는 없고 타협을 강조했다"고 분석했다.
정 전 주필은 2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 계정에 '이재명의 대선후보 수락연설을 듣고'라는 제목으로 올린 글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정 전 주필은 "(이날 연설에서) 몇 가지 없는 단어가 있었다"는 말로 시작했다. 그러면서 "타도라는 말이 없다. 쿠데타라는 말은 있지만, 윤석열이라는 단어가 한 번도 없다"면서 "자신을 패배자가 되었던 사람이라고 말했지만, 자신을 다섯 번이나 기소한 사람에 대해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검찰 독재의 희생자였다. 국힘당 후보 토론회를 보면 4명의 후보들이 모두 범죄자 이재명, 전과 4범 이재명 등의 단어를 수도 없이 반복하고 경멸적으로 사용한다"며 "이재명의 대선후보 수락 연설에는 사람 이름이라고는 노무현 등의 이름이 두 번 나왔을 뿐 정치적 상대방들에 대해서는 아예 입을 닫았다"고 적었다.
연설문에서 유독 눈길을 끄는 단어도 꼽았다.
정 전 주필은 "증오의 언어나 적개심을 표현하는 언어들은 없었다. 국힘당이라는 단어도 없었다"며 "나라 사정이 급해서 이념 사상 진영, 이런 것들을 들여다볼 시간이 없다고 말하면서 이제 통합하고 앞으로 가자고 말한다. 통합이라는 단어는 아마 열 차례도 더 되풀이 강조한 것 같았다"고 밝혔다.
'좌우 진영'이 구사하는 언어적 차이를 설명하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달라진 표현에도 주목했다.
정 전 주필은 "그동안 서서히 우클릭을 시도해 온 결과가 오늘 연설에서는 아예 자리를 잡는 모양새다. 아직 좌파 특유의 언어 단어들이 남아 있다"면서도 "중도적 중립적 언어들이 많아졌고 이제는 그런 단어만으로도 충분히 문장 구사가 된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의 연설에서 관념어들이 많이 사라진 점에 더욱 주목한다. 원래 동사를 많이 쓰면 우파, 명사 특히 관념어를 많이 동원하면 좌파의 언어라고 한다지 않은가"라며 "이재명 후보의 언어는 그런 점에서 아주 좋아졌다. 생각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행스럽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선거 #이재명 #정규재 #수락연설
댓글목록
그나마 최선이 이재명인가? 차선은 보이질 않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