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18번 언급한 권성동 "민주당이 국정혼란 주범" > 익명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익명게시판

이재명 18번 언급한 권성동 "민주당이 국정혼란 주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2-12 08:40 조회 606 댓글 1

본문

국힘 원내대표, 교섭단체 연설
尹정부 민생회복 성과 알리기 집중
"29번 탄핵에 특검법 23번 발의"
38번 거부권 유도 등 野 폭거 질타
野 "오로지 이재명 죽이기" 혹평
대통령·국회 권한 분산 개헌 촉구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권력구조 개편을 비롯해 추가경정예산안 등 다양한 민생대책 제시에 주력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권력구조 개편을 비롯해 추가경정예산안 등 다양한 민생대책 제시에 주력했다. 연합뉴스국민의힘이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전 정권 대비 윤석열 정부의 민생경제 성과 우위를 주장하는 한편, 이재명 대표만 18번을 언급하는 등 이른바 '이재명 때리기'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대통령 탄핵정국에서 전 정권의 실책, 민주당과 이 대표의 탄핵·특검 남발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탄핵 찬반 여론전을 환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이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두고 "여당 포기 선언문", "이재명 죽이기"라고 날을 세운 만큼, 2월 임시회에서도 여야 갈등 정국이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文정부 실책, 尹정부서 정상화"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현 정부가 출범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그동안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면서 문재인 정부와 비교해 윤석열 정부가 민생경제를 정상화시켰다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정부 출범 당시 6%까지 올라갔던 물가상승률은 현재 2%대의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시기 국가부채는 400조원 이상 급증했고, 기어이 국가부채 1000조원 시대를 열었다. 이와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정부는 민생을 지원하면서 건전재정을 추진했다. 그 결과 대외신인도를 지켜냈다"고 자평했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서민에게 큰 고통을 주었던 집값 폭등도 안정을 되찾았다. 적절한 주택 공급과 징벌적 과세 완화 정책 덕분"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흔들렸던 한미동맹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완전히 복원됐다"고 열거했다.

이 외에도 권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의료·교육 3대 개혁 노력도 언급했다.

■與 "국정혼란 주범 이재명" 野 "오로지 이재명 죽이기"

권 원내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민주당'과 '이재명'을 각각 44회, 18회 언급하는 등 이 대표 때리기에도 열중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 이후 민주당이 탄핵 29번, 특검법 발의 23번 등 탄핵·특검을 강행한 점 등을 조명했다. 윤 대통령 탄핵 정국 속 탄핵·특검 남발을 '야당의 횡포'로 규정짓고 있는 국민의힘이 이를 부각시켜 여론을 환기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권 원내대표는 "29번의 연쇄 탄핵, 23번의 특검법 발의, 38번의 재의요구권(거부권) 유도, 셀 수도 없는 갑질 청문회 강행, 삭감 예산안 단독 통과, 이 모두가 대한민국 건국 이후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처음 있는 일"이라며 "우리 헌정사에도, 세계 어느 국가에도 이런 야당은 없었다"고 질타했다.

특히 권 원내대표는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국정 혼란의 주범, 국가 위기의 유발자, 헌정질서 파괴자는 바로 민주당 이재명 세력"이라며 "국정 혼란의 목적은 오직 하나, 민주당의 아버지 이재명 대표의 방탄"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우리가 겪고 있는 정치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개헌"이라며 "이제는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하고, 제왕적 의회의 권력 남용도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해야 한다"며 국회 권한 분산을 고리로 한 개헌론을 주장했다.

민주당은 대표연설에 대해 "이 대표와 민주당에 대한 욕설·비난만 난무했다"며 "오직 궤변, 가짜뉴스, 변명으로 점철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혹평했다.

여야가 이처럼 국정불안 탓을 서로에게 넘기고 있는 가운데, 양측 연설에서 언급된 추가경정예산, 반도체특별법 52시간제 예외 허용 등 서로가 궤를 달리 하는 쟁점 현안 처리도 난항이 예상된다.
 

기자 프로필


댓글목록 1

작성일

이런발언은 과보단실이 많은듯

전체 551건 6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