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 관세' 발표 임박…글로벌 무역 전쟁 확대 우려 최고조
페이지 정보

본문
로이터통신, 백악관 소식통 인용 "이번 주 추가 관세 발표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간) 아들을 안고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의 '결단의 책상'에 앉아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2025.02.12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김경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몰아치기'에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제사회에 무역전쟁의 전운이 짙게 감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의 증폭이 이르면 이번 주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백악관 한 소식통은 이번 주 후반에 추가 관세 구조에 대한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에 12일(현지시간)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앞으로 이틀 내에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아직 상호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1974년 무역법 제122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 관세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관련 법은 6개월 동안 15%의 정액 최대 세율만 허용한다.
상호 관세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글로벌 무역 전쟁 위기가 커지자 국제사회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2025년 3월 12일부터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유럽연합(EU) 국가, 일본, 멕시코, 한국, 영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제품과 철강 파생 제품에 관세가 부과된다"는 취지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철강 관세는 25%로 복원되고 알루미늄 관세는 기존 10%에서 25%로 늘어나게 됐다.
관세 예고에 각국은 대미 협상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본은 관세 면제를 건의했고, 유럽 각국도 미국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앞서 멕시코와 캐나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명분으로 내세운 미국 펜타닐 유입 차단을 조건으로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해 한달 유예를 받아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을 대상으로는 이달 4일부터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했다. 중국은 이에 맞서 일부 미국산 제품에 10~15% 보복 관세를 매기고, 미국 IT 기업인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개시하며 반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국제사회에 미칠 여파를 걱정하고 있다.
윌리엄 라인쉬 전략국제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더 쉽게 시행할 수 있는 10% 또는 20% 정액 관세율을 선택하거나, 미국 관세를 각국의 관세율과 일치시키는 복잡한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라인쉬 수석연구원은 "상호 관세는 상대방이 정한 관세율에 따라야 하기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가 커피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이 커피를 재배하지 않더라도 콜롬비아 커피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그들의 관세와 맞먹을 것"이라며 "피해를 입는 건 결국 미국 소비자"라고 강조했다.
세계적인 회계법인인 BDO 글로벌의 미국지부 무역 전문가이자 책임자인 데이먼 파이크는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 중인 상호 관세는 세계 관세 기구의 186개 회원국이 각각 다른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다는 걸 감안할 때 엄청난 사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국제 수준에선 6자리 기준으로 5000개의 다른 관세 체계가 있다"며 "186개국에서 5000개라면 거의 인공지능 프로젝트나 다름 없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방침이 한국에 미칠 영향은 현재로선 가늠하기 어렵다.
다만 한국과 미국은 관세를 포함한 각종 무역제한조치를 철폐한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어 있기에 직접적인 여진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뉴스1) 김경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몰아치기'에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제사회에 무역전쟁의 전운이 짙게 감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의 증폭이 이르면 이번 주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백악관 한 소식통은 이번 주 후반에 추가 관세 구조에 대한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에 12일(현지시간)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앞으로 이틀 내에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아직 상호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1974년 무역법 제122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 관세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관련 법은 6개월 동안 15%의 정액 최대 세율만 허용한다.
상호 관세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글로벌 무역 전쟁 위기가 커지자 국제사회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2025년 3월 12일부터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유럽연합(EU) 국가, 일본, 멕시코, 한국, 영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제품과 철강 파생 제품에 관세가 부과된다"는 취지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철강 관세는 25%로 복원되고 알루미늄 관세는 기존 10%에서 25%로 늘어나게 됐다.
관세 예고에 각국은 대미 협상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본은 관세 면제를 건의했고, 유럽 각국도 미국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앞서 멕시코와 캐나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명분으로 내세운 미국 펜타닐 유입 차단을 조건으로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해 한달 유예를 받아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을 대상으로는 이달 4일부터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했다. 중국은 이에 맞서 일부 미국산 제품에 10~15% 보복 관세를 매기고, 미국 IT 기업인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개시하며 반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국제사회에 미칠 여파를 걱정하고 있다.
윌리엄 라인쉬 전략국제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더 쉽게 시행할 수 있는 10% 또는 20% 정액 관세율을 선택하거나, 미국 관세를 각국의 관세율과 일치시키는 복잡한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라인쉬 수석연구원은 "상호 관세는 상대방이 정한 관세율에 따라야 하기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가 커피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이 커피를 재배하지 않더라도 콜롬비아 커피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그들의 관세와 맞먹을 것"이라며 "피해를 입는 건 결국 미국 소비자"라고 강조했다.
세계적인 회계법인인 BDO 글로벌의 미국지부 무역 전문가이자 책임자인 데이먼 파이크는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 중인 상호 관세는 세계 관세 기구의 186개 회원국이 각각 다른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다는 걸 감안할 때 엄청난 사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국제 수준에선 6자리 기준으로 5000개의 다른 관세 체계가 있다"며 "186개국에서 5000개라면 거의 인공지능 프로젝트나 다름 없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방침이 한국에 미칠 영향은 현재로선 가늠하기 어렵다.
다만 한국과 미국은 관세를 포함한 각종 무역제한조치를 철폐한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어 있기에 직접적인 여진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기자 프로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