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트럼프 관세 결정될 때까지 현 정책 기조 유지…연준, 세 번째 금리 동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5-08 08:28 조회 6 댓글 1본문
[파이낸셜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 연준 청사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물가와 실업을 동시에 높인다면서 관세율이 최종적으로 정해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확실해질 때까지 지금의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AP 뉴시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초래하고 있는 경제충격을 이유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이날 이틀에 걸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4.25~4.5%로 묶었다.
FOMC는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트럼프의 관세가 미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 분명하게 말했다.
파월은 지금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연준이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실업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높아질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지금의 정책 기조가 경제 상황 전개에 시의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조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은 이어 트럼프가 이미 발표한 관세가 그대로 시행되면 미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장기 인플레이션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다.
그는 “이미 발표된 대규모 관세 인상이 유지된다면 이런 높은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경제 성장은 둔화시키는 한편 실업도 끌어올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파월은 인플레이션 충격이 얼마나 갈지 장담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관세가 물가 수준을 한차례 끌어올리는 점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 효과는 단기에 사라질 수 있다”면서도 “인플레이션 효과가 이와 달리 더 지속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역시 있다”고 말했다.
파월은 연준의 양대 목표인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 두 목표 가운데 어디에 연준이 초점을 맞춰야 할지를 얘기하기에는 아직 “지나치게 이르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물가 안정에 초점을 맞추면 금리를 내려서는 안 되고, 고용 안정에 무게 중심을 두면 금리를 내려야 한다. 진퇴양난이다.
파월은 “지금은 너무 일러 이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어떤 모습을 띨지 윤곽이 확실해질 때까지 연준이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파월은 연준의 현 정책 기조는 ‘완만한 긴축’이라면서 계속해서 경제지표를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면서 “지금은 인내해도 된다”며 섣부른 금리 인하는 없다고 못 박았다.
파월은 트럼프 관세 후폭풍으로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어 연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도 일축했다.
그는 “지금은 선제적으로 대응할 시기가 아니다”라며 “우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보기 전까지는 데이터가 어떨 것이라고 짐작해 정확하게 대응하는 방법을 실제로 모른다”고 단언했다.
파월은 트럼프 관세가 현 수준으로 결론이 나면 연준의 금리 인하가 적어도 내년까지는 원하는 수준으로 이뤄지기 어렵다고 비관했다.
그는 관세가 지금의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되면 인플레이션과 실업이 동반 상승할 것이어서 섣불리 금리를 움직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관세가 지금 수준에서 고정될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불확실성으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파월은 연준이 결국에는 목표한 중립수준의 금리로 기준금리를 내리기는 하겠지만 달성 시기는 최소한 내년까지는 그렇게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이는 순전히 무역협상 끝에 관세가 어떻게 정해질지에 달려있다고 단서를 달았다.
파월은 트럼프가 거듭 연준의 금리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연준이 흔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는 FOMC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못 박았다.
파월은 연준이 통화정책 수단을 오로지 미국인 모두에도 도움이 되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에만 쓸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오직 경제 지표, 경기 전망, 위험 비중만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초래하고 있는 경제충격을 이유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이날 이틀에 걸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4.25~4.5%로 묶었다.
FOMC는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트럼프의 관세가 미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 분명하게 말했다.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 부를 수도
파월은 지금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연준이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실업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높아질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지금의 정책 기조가 경제 상황 전개에 시의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조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은 이어 트럼프가 이미 발표한 관세가 그대로 시행되면 미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장기 인플레이션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다.
그는 “이미 발표된 대규모 관세 인상이 유지된다면 이런 높은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경제 성장은 둔화시키는 한편 실업도 끌어올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파월은 인플레이션 충격이 얼마나 갈지 장담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관세가 물가 수준을 한차례 끌어올리는 점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 효과는 단기에 사라질 수 있다”면서도 “인플레이션 효과가 이와 달리 더 지속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역시 있다”고 말했다.
물가안정, 실업
파월은 연준의 양대 목표인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 두 목표 가운데 어디에 연준이 초점을 맞춰야 할지를 얘기하기에는 아직 “지나치게 이르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물가 안정에 초점을 맞추면 금리를 내려서는 안 되고, 고용 안정에 무게 중심을 두면 금리를 내려야 한다. 진퇴양난이다.
파월은 “지금은 너무 일러 이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어떤 모습을 띨지 윤곽이 확실해질 때까지 연준이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파월은 연준의 현 정책 기조는 ‘완만한 긴축’이라면서 계속해서 경제지표를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선제적 금리 인하 없다
그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면서 “지금은 인내해도 된다”며 섣부른 금리 인하는 없다고 못 박았다.
파월은 트럼프 관세 후폭풍으로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어 연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도 일축했다.
그는 “지금은 선제적으로 대응할 시기가 아니다”라며 “우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보기 전까지는 데이터가 어떨 것이라고 짐작해 정확하게 대응하는 방법을 실제로 모른다”고 단언했다.
최소 내년까지 충분한 금리 인하 어려워
파월은 트럼프 관세가 현 수준으로 결론이 나면 연준의 금리 인하가 적어도 내년까지는 원하는 수준으로 이뤄지기 어렵다고 비관했다.
그는 관세가 지금의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되면 인플레이션과 실업이 동반 상승할 것이어서 섣불리 금리를 움직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관세가 지금 수준에서 고정될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불확실성으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파월은 연준이 결국에는 목표한 중립수준의 금리로 기준금리를 내리기는 하겠지만 달성 시기는 최소한 내년까지는 그렇게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이는 순전히 무역협상 끝에 관세가 어떻게 정해질지에 달려있다고 단서를 달았다.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 정책 결정에 영향 없다
파월은 트럼프가 거듭 연준의 금리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연준이 흔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는 FOMC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못 박았다.
파월은 연준이 통화정책 수단을 오로지 미국인 모두에도 도움이 되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에만 쓸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오직 경제 지표, 경기 전망, 위험 비중만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동결... 한국은 낮춘다고 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