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탈원전 뒤집기에도 꿋꿋…대만, ‘원전 없는 나라’ 완성하다 >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누구나 글쓰기, 댓글 가능

[단독] 탈원전 뒤집기에도 꿋꿋…대만, ‘원전 없는 나라’ 완성하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5-21 08:29

본문

동아시아 첫 탈원전, 대만을 가다 ①
2025년 5월18일 0시, 원전 발전량 ‘0’
출렁이는 여론에도 탈원전 정책 이어가
대만 최남단 핑둥현의 마안산 원전 2호기가 공식 폐쇄된 18일 대만 시민들이 원전 인근 해변에서 해수욕을 즐기고 있다. 원전 뒤로 원전을 대체해 전력을 공급할 풍력발전기가 보인다. 장영식 사진작가 제공
대만 최남단 핑둥현의 마안산 원전 2호기가 공식 폐쇄된 18일 대만 시민들이 원전 인근 해변에서 해수욕을 즐기고 있다. 원전 뒤로 원전을 대체해 전력을 공급할 풍력발전기가 보인다. 장영식 사진작가 제공
2025년 5월18일 0시, 실시간 전력수급을 보여주는 현황판에서 ‘원전 발전량’이 0으로 바뀌었다. ‘마지막 원전’ 마안산 2호기가 가동을 중단하면서 대만이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탈원전’ 국가가 되는 순간이었다. 대만 내 모든 원전이 멈춘 순간, 타이베이에 위치한 대만전력공사 본사 건물 벽에는 ‘비핵가원’(非核家園)이란 글씨가 초록색으로 빛났다. “원전 없는 나라”란 뜻이다.

■ 우리처럼 ‘에너지 섬’인데…뚝심 있게 ‘탈원전’ 탈원전 당일 제3원전(마안산 1·2호기)이 위치한 대만 남부 핑둥현에서 한겨레와 만난 쩡원성 대만전력공사 회장은 “그동안 대만 전체 전력 생산의 3%대를 차지하고 있던 원전의 발전 비중이 0으로 줄어드는 걸 최종 확인했다”며 “18일 오후 2시 현재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풍력, 수소, 가스·석탄발전소 등을 가동해 대만 전역에 약 3만5천메가와트(대형 원전 35기 규모)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안산 원전은 수도 타이베이에서 차로 6시간 걸리는 최남단 해안가에 있다. 우뚝 선 콘크리트 원형 돔의 새까만 얼룩들에서 수명기간 40년 세월의 흔적이 느껴졌다. 원전 앞 해변은 30도가 넘는 날씨에 해수욕을 즐기는 인파로 가득했고, 뒷산에는 원전을 대체할 대형 풍력발전기가 줄지어 돌아가고 있었다.

섬나라인 대만은 주변 국가와 전기를 공유할 수 없는 ‘에너지 섬’이란 점에서 우리와 닮았다. 대만 역시 1980년대엔 ‘에너지 안보’를 앞세워 전체 전력의 50%를 원전에 기댔다. 하지만 2011년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뒤인 2017년, 막 집권한 차이잉원(민주진보당) 정부는 ‘2025년까지 모든 원전의 가동을 중단’하는 법안(‘전기사업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며 탈원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환태평양 지진대에 위치한 대만은 그 어느 나라보다 지진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해 8월 가스화력발전소 정지 사고로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원전 재가동’ 여론에 휩쓸려 이 법안 자체는 국민투표를 통해 폐기됐다. 다만 수명을 다한 원전은 폐쇄하는 방식으로 탈원전 정책이 이어져 결국 2025년 마안산 2호기를 끝으로 모든 원전을 폐쇄하는 데 이른 것이다.

대만의 마안산 원전 2호기가 폐쇄되기 직전인 17일 밤 타이베이의 대만전력공사 본사 건물에 ‘핵발전 없는 국가, 원전 없는 대만, 원전 없는 아시아’란 레이저빔 글귀가 새겨졌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대만의 마안산 원전 2호기가 폐쇄되기 직전인 17일 밤 타이베이의 대만전력공사 본사 건물에 ‘핵발전 없는 국가, 원전 없는 대만, 원전 없는 아시아’란 레이저빔 글귀가 새겨졌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대만전력, “원전 없어도 안정적…재생에너지가 대체” 쩡 회장은 “대만 탈원전은 시대적 흐름”이라며 탈원전 비판 여론을 겨냥해 “원전이 모든 면에서 뛰어나다면 왜 원자력 산업은 지속해서 성장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수명이 끝난 원전을 수리하거나 10년 이상 걸려 새로운 원전을 짓는 것보다,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빠르게 늘리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력공급 임무를 달성하는 길”이라 단언했다.

대만의 일부 언론은 ‘탈원전 정책이 대만전력공사의 적자를 키웠다’고 보도하는데, 쩡 회장은 “사실 왜곡”이라고 했다. 그는 “대만은 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산업용 전기요금을 한국보다 15%가량 저렴하게 유지한다.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기료를 인상했다면 흑자가 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대만의 산업용 평균 전기요금은 전력 판매 원가보다 낮은 킬로와트시(㎾h)당 3.38대만달러(약 156.8원)로, 한국의 산업용 요금인 182.7원(대기업 기준)보다 저렴하다. 대만전력공사의 현 누적 적자는 4200억대만달러(약 19조4천억원)다.

대만전력공사는 탈원전을 계기로 재생에너지 설비를 빠르게 확충해 2050년 ‘탄소중립’과 전기요금 안정화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단 계획이다. 대만 정부도 2035년까지 15기가와트(GW) 해상풍력 개발 계획을 추진하면서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60%”를 달성하는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한 상태다.

쩡원성 대만전력공사 회장이 대만 탈원전 당일인 18일 대만전력 남부지사의 대형 사진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영식 사진작가 제공
쩡원성 대만전력공사 회장이 대만 탈원전 당일인 18일 대만전력 남부지사의 대형 사진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영식 사진작가 제공
아시아 10개국 환경단체 회원들이 17일 밤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 본부 앞에서 ‘탈원전 축하 집회’를 열었다. 한국 참가자들은 ‘핵 대신 해’라는 의미의 해바라기 모자를 쓰고 대만 탈원전을 축하했다. 장영식 사
아시아 10개국 환경단체 회원들이 17일 밤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 본부 앞에서 ‘탈원전 축하 집회’를 열었다. 한국 참가자들은 ‘핵 대신 해’라는 의미의 해바라기 모자를 쓰고 대만 탈원전을 축하했다. 장영식 사진작가 제공■ 후쿠시마 피난민, “큰 사고 없이 탈원전 다행” 탈원전은 파괴적인 핵에너지로부터 생명과 평화를 지키려는 사람들의 오랜 염원이다. 1954년 러시아에서 세계 첫 원전이 가동된 이래, 가동 원전을 폐쇄하는 결정을 내린 나라는 이탈리아, 독일 등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는다.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 동북아시아는 원전이 특히 밀집한 지역으로 꼽히는데, 이번 대만의 첫 탈원전은 그만큼 의미가 남다르다.

한국, 일본, 필리핀, 인도 등 10개국 환경단체 회원들은 원전 가동이 멈추기 전인 17일 밤 타이베이에 있는 대만전력공사 본부 앞에서 ‘탈원전 축하’ 집회를 열었다. 한국 참가자 20여명은 ‘핵 대신 해’라는 의미의 해바라기 모자를 쓰고 집회에 참가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대만 환경단체들은 원전 발전량이 0이 되는 순간에 맞춰 대만전력공사 건물 벽에 “핵발전 없는 국가, 원전 없는 대만, 원전 없는 아시아”란 글귀를 레이저빔으로 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집회에 참가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피난민 오가 아야코는 “대만이 지난 50년 넘는 시간 동안 후쿠시마 같은 큰 사고를 겪지 않고 원전을 폐쇄한 게 천만다행”이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상홍 경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한국에선 보수 정치권과 핵산업계가 합심해 탈원전 정책을 뒤집었는데, 그런 오점이 반복되지 않게 대만에선 해체(폐로) 작업 등 완전한 탈원전에 성공하길 응원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58건 1 페이지
  • RSS
익명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958 2 08:33
열람중 3 08:29
956 5 08:28
955 3 08:26
954 6 08:25
953 3 08:24
952 7 05-20
951 8 05-20
950 5 05-20
949 8 05-20
948 8 05-20
947 4 05-20
946 6 05-20
945 14 05-19
944 224 05-19

검색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