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 가능성에 다급해진 여야… 민생 정책 주도권 쟁탈전 >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누구나 글쓰기, 댓글 가능

조기대선 가능성에 다급해진 여야… 민생 정책 주도권 쟁탈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2-05 17:44

본문

與, 7일까지 건설·조선·항공 간담회
野는 연일 기업 친화 면모 부각 행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민생 정책 주도권을 둘러싼 여야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어려운 경제 상황에 대한 불만 여론이 거센 상황에 민심을 달래는 한편 경제 현안에 대한 해결 역량을 보여주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권성동(왼쪽 세 번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정책간담회, 1탄 건설 산업 경청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송언석(네 번째) 의원
권성동(왼쪽 세 번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정책간담회, 1탄 건설 산업 경청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송언석(네 번째) 의원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서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건설기업을 지원할 방안이 논의됐다. 연합뉴스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5일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정책 간담회 1탄 건설산업 경청회’를 열어 건설 분야 정책 제안, 애로 사항 등을 논의했다. 행사는 당 지도부의 지지 아래 7일까지 사흘간 진행되며 조선, 항공 등 각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처리가 불발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등의 통과도 촉구했다. 해당 법안에는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주택 과세 특례와 법인세 완화 등 지원책이 담겨 있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간담회에서 “여야가 합의했음에도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의 태도 때문에 법안 처리가 안 되는 실정”이라면서 “민생과 경제, 국민을 위한다면 여야 간 합의했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민주당도 앞장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 위원장도 “건설업계에 꼭 필요한 세법이 (국회에) 계류가 된 것이 많고, 지난해 정기국회 기간 양당 간사간 합의된 내용이 많다. 이런 세법들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했다. 또 “금년도 예산에 사회간접자본(SOC)으로 편성돼 있는 것을 조기집행해서 건설업이 살아나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앞줄 왼쪽 네 번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민주당 의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경제단체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재명(앞줄 왼쪽 네 번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민주당 의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경제단체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민주당은 간담회장 벽면에 ‘경제는 민주당’이라는 문구를 적어넣었다. 안주영 전문기자

민주당은 조기 대선 가능성에 연일 경제 문제 해결을 내세우면서 기업 친화적인 면모를 부각하는 모습이다. 이재명 대표는 국회 당 대표 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간담회를 열고 국제 통상 문제 해법과 관련해 “일선에 있는 기업들, 경제인들의 의견이 제일 중요한 것 같다”며 친기업 행보를 이어갔다.

이 대표는 “과거 산업 발전을 기획할 때는 정부 주도로 문제를 해결해 왔다. 이제는 민간의 역량이 정부 역량을 뛰어넘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 정치권과 행정 관료들의 역량만으로는 해결책을 찾아내기가 그렇게 쉽지 않다”며 민관이 중지를 모으자는 취지로 말했다.

민주당은 간담회에서 수출 관련 4대 그룹 관계자와 경제 단체 인사들에게 반도체특별법·해상풍력법·전력망법·분산에너지법안 등을 2월 국회에서 처리토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주52시간 근로제 예외 적용에 대해선 “쟁점 해소를 위해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25건 1 페이지
  • RSS
익명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425 23 17:52
424 20 17:49
423 5 17:49
422 54 17:47
421 5 17:45
열람중 3 17:44
419 119 17:43
418 61 17:40
417 5 17:38
416 60 17:37
415 38 02-04
414 95 02-04
413 87 02-04
412 87 02-04
411 68 02-04

검색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