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자제품 상호관세 부과 제외…韓 수출 하방 리스크 경감”
페이지 정보

본문
KB증권 보고서[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자제품 및 부품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제외하기로 하면서 미국의 실효 관세율 상승폭이 경감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아울러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가 완화하면서 국내 수출 하방 리스크도 낮아질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권희진 KB증권 연구원은 14일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이외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데 이어, 11일(현지시간) 세관국경보호국(CBP)을 통해 전자제품 및 부품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를 발표했다”며 “여기에는 반도체부터 컴퓨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광범위한 품목이 해당하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도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수입하는 전자제품 및 부품이 중국산일 경우 20% 펜타닐 관세율만 적용되고, 이외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보편관세 10%에서도 제외돼 추가되는 관세가 없다”고 덧붙였다.
상호관세 부과 제외 조치로 인해 관세 부담이 완화할 것으로 판단했다. 권 연구원은 “이전 상호관세 유예 조치에서 배제됐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도 면제 대상에 들어감에 따라 미국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덜어줄 전망”이라며 “미국의 대중(對中) 수입 중 22%가 이번 제외 대상에 속하므로, 기존에 발표됐던 초고율의 관세 부담이 경감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만큼 극적이지는 않지만 중국 외 국가들의 해당 품목 수출도 이번 발표로 10% 보편관세를 피할 수 있게 됐다”며 “한국은 대미 수출 감소에 따른 직접 영향 못지않게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에 의한 간접 영향도 크게 받는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발표로 한국의 對중 수출 감소폭이 완화되면서 국내 수출 하방 리스크가 경감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또 “미국이 중국산 전자제품 및 부품에 추가로 부과하는 관세율은 20%지만,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 부과하는 관세는 일단 사라진 상황”이라며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 품목에서 중국과의 가격 경쟁력 격차를 일부 줄이는 효과는 아직 유효하다”고 밝혔다.
다만 반도체에 대한 추가적인 관세 조치가 제시될 수 있는 점은 주의가 요구된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 첨단 기술기업들의 생산을 중국에 의존하게 두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는 여전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안을 14일 발표하겠다고 했는데, 미국으로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단계적인 품목 관세 인상 계획 등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이어 “미국이 수입하는 전자제품 및 부품이 중국산일 경우 20% 펜타닐 관세율만 적용되고, 이외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보편관세 10%에서도 제외돼 추가되는 관세가 없다”고 덧붙였다.
상호관세 부과 제외 조치로 인해 관세 부담이 완화할 것으로 판단했다. 권 연구원은 “이전 상호관세 유예 조치에서 배제됐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도 면제 대상에 들어감에 따라 미국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덜어줄 전망”이라며 “미국의 대중(對中) 수입 중 22%가 이번 제외 대상에 속하므로, 기존에 발표됐던 초고율의 관세 부담이 경감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만큼 극적이지는 않지만 중국 외 국가들의 해당 품목 수출도 이번 발표로 10% 보편관세를 피할 수 있게 됐다”며 “한국은 대미 수출 감소에 따른 직접 영향 못지않게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에 의한 간접 영향도 크게 받는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발표로 한국의 對중 수출 감소폭이 완화되면서 국내 수출 하방 리스크가 경감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또 “미국이 중국산 전자제품 및 부품에 추가로 부과하는 관세율은 20%지만,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 부과하는 관세는 일단 사라진 상황”이라며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 품목에서 중국과의 가격 경쟁력 격차를 일부 줄이는 효과는 아직 유효하다”고 밝혔다.
다만 반도체에 대한 추가적인 관세 조치가 제시될 수 있는 점은 주의가 요구된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 첨단 기술기업들의 생산을 중국에 의존하게 두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는 여전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안을 14일 발표하겠다고 했는데, 미국으로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단계적인 품목 관세 인상 계획 등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