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전격 유예시킨 건 ‘채권 폭락’ >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누구나 글쓰기, 댓글 가능

트럼프 상호관세 전격 유예시킨 건 ‘채권 폭락’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4-11 08:54

본문

증시 폭락에 이례적 채권도 폭락
개인 연금과 정부 부채에 악영향
관세 유예했지만 계속 압박할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워싱턴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발언하고 있다. UPI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워싱턴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발언하고 있다. UPI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부과한 고율의 상호관세를 중국을 제외하고 시행 하루도 안 돼 90일간 유보한 것은 미국 내 여론 악화와 함께 미국 국채 가격 폭락 등 금융위기 우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를 포기한 것이 아니라 유보했으며, 관세를 고리로 한 세계 각국에 대한 압박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유보 결정 시점에 대해 “지난 며칠 동안 그것에 대해 생각해왔다”며 “아마도 오늘 아침 일찍 생각이 정리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동안 상호관세를 유보할 생각이 없다고 주장해왔으나, 사실은 며칠 동안 고려해왔음을 인정한 것이다.

사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부터 뒷걸음질 칠 기색을 보였다. 관세 문제에 관해 온건파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관세 협상 전권을 주고, 한국 및 일본과 협상에 나서도록 했다. 강경파 피터 나바로 백악관 선임고문은 배제됐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주말 트럼프 자택인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로 가 트럼프 대통령과 같이 지내며 지나친 관세를 자제하자고 설득했다고 시엔엔(CNN) 등이 전했다.

8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출석한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공화당 톰 틸리스 상원의원이 그리어 대표에게 이번 관세 정책이 실패할 경우 “누구의 목을 조르면 되는 거냐?”고 묻는 등 공화당에서도 회의적 분위기가 감지됐다.

미국 증시 폭락이 미국 국채 시장으로까지 번지자 상황은 급박해졌다.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0.19%포인트가 오른 4.51%까지 뛰었다.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5%를 상회했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이번주 초에 3.9% 이하였다. 채권 수익률 급등은 채권 가격 급락을 의미한다.

트럼프는 9일 백악관에서 자동차 경주 선수들과 개최한 행사에서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을 받자 “난 국채 시장을 보고 있었다. 국채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며 “내가 어젯밤에 보니까 사람들이 좀 불안해하더라”고 말했다. 국채 시장 불안이 상호관세 유예의 주요한 배경이 되었음을 인정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도 증시 폭락은 어느 정도 예상했지만 국채는 이야기가 다르다. 채권은 보통 안전자산으로 취급돼 주가가 떨어지면 가격이 오른다.

지난주만 해도 증시가 추락하자 미국 국채 가격은 올랐다. 하지만 이번주 들어서 미국채 경매 수요가 저조하더니 가격이 폭락하기 시작했다. 증시와 채권 시장 동시 폭락은 개인과 정부 모두에 심각한 파장을 부른다. 먼저 미국 국민의 대다수가 가입한 노후연금 신탁은 주식 60%, 채권 40%로 구성된다. 주가가 떨어지면 채권으로 수익률 저하를 막는 구조인데, 주식과 채권 동시 폭락은 대다수 미국 국민의 노후를 위협하는 것이다.

국채 폭락은 미 정부의 재정적자도 악화시킨다. 트럼프가 관세 전쟁을 벌이는 이유 중 하나는 재정적자 등 국가 경상수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재정적자의 주요한 이유가 국가부채를 갚기 위한 이자 지출 때문이다. 미 정부 예산 지출 중 13%가 국채 이자 등 부채 비용이다. 국채 가격이 폭락해 이자가 오르면, 미 정부의 이자 부담도 늘고 재정적자는 더욱 악화된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10% 기본 관세는 적용 중이며,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는 중 협상한다는 태도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안보 등 경제 외의 다른 분야까지 대상에 넣으며 다방면으로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99건 1 페이지
  • RSS
익명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799 12 04-11
798 12 04-11
열람중 14 04-11
796 10 04-11
795 10 04-11
794 13 04-11
793 16 04-10
792 158 04-10
791 149 04-10
790 154 04-10
789 158 04-10
788 153 04-10
787 145 04-10
786 160 04-09
785 172 04-09

검색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