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정책, K배터리에 유리…美서 차세대 배터리 생산 가능" >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익명게시판 누구나 글쓰기, 댓글 가능

"트럼프 관세정책, K배터리에 유리…美서 차세대 배터리 생산 가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댓글 1건 조회 16회 작성일 25-04-10 16:45

본문

SNE리서치 '차세대 배터리 콘퍼런스'
"美 관세로 중국산 배터리 63.7% 상승"
K배터리, 현지 생산 시 가격 경쟁력 확보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박차
LG엔솔, 5년 내 상용화···AAM·선박 등 공급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 전경. 사진 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 전경. 사진 제공=LG에너지솔루션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미중 무역 갈등이 한국 배터리 업체에게 기회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한국 업체의 제품이 125% 관세율을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을 대체할 것이란 분석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 국내 업체들은 미국 공장을 활용한 차세대 배터리 생산 가능성을 열어두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은 10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제8회 차세대 배터리 콘퍼런스’에서 “중국산 배터리셀 고율 관세로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중국산을 대체하려는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2025~2026년 북미 생산과 소재 내재화가 성공의 분수령”이라고 밝혔다.

비야디(BYD)와 CATL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북미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2019년 2.2%에서 지난해 41.1%로 늘었다. 올 들어 2월까지는 46.5%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무역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점유율 확대에 제약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고율 관세를 적용 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고객 수요도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SNE리서치 분석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가 2026년부터 중국산 ESS 배터리에 82.4% 관세를 부과하면 해당 배터리의 가격은 ㎾h당 149달러로 지난해(㎾h당 91달러)보다 63.7% 치솟는다. 반면 미국에서 생산한 배터리는 ㎾h당 118달러로 31달러 저렴하다. 현지 생산으로 관세를 피할 수 있는 데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혜택도 받기 때문이다.

오 부사장은 “미국에서 조기에 ESS용 LFP 라인을 구축해야 한다”며 “파우치보다 각형을 선호하는 고객 수요를 반영해 각형 라인을 마련하고 수요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h당 100달러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업체들은 미국 생산거점을 기반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에서 총 7개 배터리 공장을 운영 또는 건설 중이고 삼성SDI(006400)는 미국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인 스타플러스에너지(SPE) 1공장을 지난해 12월 조기 기동했다. SK온은 미국 공장을 6개로 확대한다. 손권남 LG에너지솔루션 부문담당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저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업체 등 경쟁사에 앞서기 위한 신기술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개발 중인 차세대 배터리로 소듐이온 배터리, 바이폴라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를 제시하고 2030년까지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보다 가격과 성능, 안전성을 개선하고 단순 전기차·ESS를 넘어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로봇, 전기선박 등으로 공급을 늘려 나간다는 구상이다.

손 부문담당은 “필요하다면 미국에서도 소듐이온 배터리 등을 양산·매매할 것으로 본다”며 “향후 시장이 커진다면 그에 맞춰서 적절한 시장에서 생산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새로 개발한 배터리 열 관리 기술을 선보였다. 배터리 셀 한 곳에서 열 폭주가 발생하더라도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술이다. 곽현영 삼성SDI 상무는 “이미 기술 개발을 완료했고 완성차 제조사가 원하면 어떤 셀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작성일

중국산 저가 전기차 타격이 좀 있네

Total 799건 1 페이지
  • RSS
익명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799 12 04-11
798 12 04-11
797 14 04-11
796 10 04-11
795 10 04-11
794 13 04-11
열람중 17 04-10
792 158 04-10
791 149 04-10
790 154 04-10
789 158 04-10
788 153 04-10
787 145 04-10
786 160 04-09
785 172 04-09

검색


사이트 정보

제호: 빅텐트
발행일/등록일: 2024.02.20 / 2024.03.04
등록번호: 서울아55332
발행ㆍ편집인ㆍ청소년보호책임자: 강병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70길 77-2
전화번호: 010-5558-6075

Copyright © bigtent.me All rights reserved.